▤ 목차
2025 제21대 대선 사전투표소 찾기 완벽 가이드
바쁜 일상 속에서도 놓칠 수 없는 소중한 한 표!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가 다가오면서 많은 분들이 사전투표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선거일 당일 투표가 어려운 분들을 위한 사전투표 제도, 과연 어디서 어떻게 참여할 수 있을까요? 사전투표소 위치부터 준비물까지,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완벽한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사전투표 기본 일정 및 시간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는 2025년 5월 29일(목)부터 30일(금)까지 이틀간 진행됩니다. 투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12시간 동안 운영되며, 전국 3,568개 사전투표소에서 동시에 실시됩니다.
본투표는 2025년 6월 3일(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진행되어 사전투표보다 2시간 더 길게 운영됩니다.
사전투표소 찾기 방법(+위치)
온라인으로 찾기
사전투표소 위치는 여러 경로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포털에서도 제공하고 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사전투표소 찾기'를 본인에게서 가장 가까운 투표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nec.go.kr/site/vt/main.do)[1]
- 포털사이트: 네이버, 다음(카카오), 당근 등에서 "사전투표소 찾기" 검색
- 네이버 지도에서 "사전투표소 찾기" 검색
전국 어디서나 투표 가능- 사전투표소 찾기 연결서비스
사전투표의 가장 큰 장점은 주민등록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출근길이나 여행 중에도 가까운 사전투표소 찾기를 통해 위치를 확인하고 투표 참여가 가능합니다.
필수 준비물과 신분증 종류
인정되는 신분증
사전투표를 위해서는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이 필수입니다:
- 주민등록증
- 여권
- 운전면허증
- 공무원증
- 장애인등록증 등
모바일 신분증 사용법
모바일 신분증도 사용 가능하지만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현장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사진·성명·생년월일 확인
- 화면 캡처나 저장된 이미지 파일은 인정되지 않음
- PASS 앱, 네이버 자격증, 카카오톡 지갑 등 모바일 신분증의 실행 과정을 보여줘야 함
투표 절차 및 방법
관내 선거인 투표
주민등록 주소지와 같은 지역의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하는 경우:
- 신분증 제시하여 본인 확인
- 본인 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
- 투표용지 수령 후 기표소에서 기표
- 투표용지를 접어서 관내투표함에 투입
관외 선거인 투표
주민등록 주소지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투표하는 경우:
- 신분증 제시하여 본인 확인
-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 수령
- 기표소에서 기표 후 회송용 봉투에 넣어 밀봉
- 관외투표함에 투입
투표 시 주의사항
금지 행위
- 투표용지 촬영 또는 훼손 행위 처벌 대상
- 기표소에서 기표 외의 낙서나 표시 시 무효 처리
- 투표소 내 소란 행위 금지
보안 강화 조치
이번 사전투표에서는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여러 장치가 도입되었습니다:
- 투표소별 한 시간마다 투표자 수 공개
- 시도 선관위 설치 대형 CCTV를 통한 사전투표함 보관 상황 실시간 중계
- 전국 무장경찰 6,400여 명 투입으로 경계 태세 강화
특별 지원 서비스
장애인, 어르신, 임산부 등을 위한 투표 지원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 사전 신청을 통한 투표 지원
- 강서구선거관리위원회 (☎ 02-3663-1390)
- 강서구장애인단체총연합회 (☎ 02-6346-3918)
신청 시 필요 정보:
- 선거권자 성명
- 거주지 주소
-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 투표 희망 일시
- 투표 예정 사전투표소 명칭
마무리: 소중한 한 표로 미래를 선택하세요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는 5월 29일~30일 이틀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3,568개 투표소에서 진행됩니다. 신분증만 있으면 사전투표소 찾기를 통해 전국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어 바쁜 일상 속에서도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중앙선관위 홈페이지나 포털사이트에서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확인하고, 신분증을 준비하세요. 여러분의 소중한 한 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선거는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말고 반드시 투표에 참여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해 주시기 바랍니다.